자궁근종과 내막증
본문
자궁근종 내막증 | |
|
|
자궁 근종이란, 자궁의 근육층을 이루고 있는 평활근에서 생긴 암과는 상관없는 양성 종양을 말합니다.
이 질환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 엄밀하게 자궁 근종이 전혀 없는 여성은 오히려 드물다고 할 정도로 많은 병입니다. 자궁 근종이 성장하는 것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에 의존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궁근종은 언제부터 생겼는지, 얼마나 커지는지, 어떻게 자라는 것인지는 확실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
|
|
자궁 근종을 가진 사람 중 25% 정도가 증상을 호소하지만 대부분은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합니다. 증상 중 제일 많은 것은 월경 불순으로, 약 1/3 에서 나타나며 월경량이 많아지는 월경과다, 월경이 아닐 때 생기는 부종 질 출혈이 대부분 입니다. 이것은 혹이 생겨서 자궁 전체가 커지게 되어, 자궁을 둘러싸고 있는 안쪽 막의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많은 증상은 자궁이 커지면서 아랫배에서 혹이 만져지거나 허리가 무거워지고 아랫배에 통증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 외에 커진 자궁이 주위 장기인 방광을 누르면서 소변을 자주 본다거나 소변 볼 때 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허약감, 무기력감, 두통, 빈혈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
|
자궁 근종은 특별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크기가 너무 크지 않고 증상이 없으면 반드시 치료의 대상이 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임의대로 결정해서는 안됩니다.
진료를 통해 악성 육종과 감별을 한 후 빈뇨, 잔뇨감, 요통, 생리과다, 빈혈, 기능성 자궁출혈, 반복 유산, 불임 등의 증상이 있으면 치료를 받습니다. 약물적 치료도 있지만 완치는 역시 수술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
|
|
|
|
- 임신 중이거나 피임약을 복용중일 때는 종양이 빨리 자라고, 폐경기 이후에는 종양이 거의 발생하지 않거나 크기가 줄어듭니다. - 자궁 근종의 약 1% 가량은 자궁암으로 발전할 수도 있으므로 근종이 계속 자라는지에 대해 6개월 간격으로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
|
|
자궁이 성장하고 발달하는 데에는 여성 호르몬의 자극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궁 내막증은 초경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10세에서 60세까지의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이 가능하지만 75%가 25세에서 40세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원인 및 발생 기전은 아직 정확하지 않으나 배꼽을 형성하는 골반내 복막의 일부분이 비정상적인 분화를 일으켜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의 유병율에 관해서는 보고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나 대개 가임기 여성의 3-10%, 불임 여성의 25-35% 정도라고 추정됩니다. 15-64세 사이의 여성 1,000명 중 4명이 매년 자궁내막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게 되며 이는 유방암 환자의 수보다 약간 많은 정도입니다. |
|
|
|
발생부위나 환자 개개인에 따라 증상의 유형이 다르기는 하나 특이할 만한 주요 증세는 역시 생리 시작전부터 내내 심하게 앓게 되는 생리통입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여성들이 이런 위험인자를 흔히 겪고 이는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해 전문적 치료를 받지 않고 참고 견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건강한 여성이라도 월경량이 많이지며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면 정상이 아니라는 신호입니다. 특히 조기 초경을 경험했다거나 정상 월경주기가 27일 이하 월경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 가족 내에 자궁내막증 환자가 있는 상태에서 위의 자각 증세가 나타나면 자궁 내막증을 의심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자각 증상없이 임신이 잘 안되거나 습관성 유산과 같은 문제로 병원을 찾았다 자궁내막증으로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생리통 월경 직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성교통이 있을 수 있는데 자궁 인대나 질 부위에 이상이 있을 때 종종 나타나며, 배변 시에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러나 자궁내막증이 진행될수록 반드시 통증이 심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 밖에도 변비나 아랫배 불쾌감이 생길 수 있으며, 자궁내막증 환자의 30-50%가 불임증을 동반하게 됩니다. 반면 임신을 했을 경우에는 자궁내막증이 쇠퇴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
|
|
|
증상에 대한 문진과 복부 촉진으로 진단을 하며 복강경 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치료는 크게 내과적 치료(호르몬 치료)와 수술적 치료 그리고 복합 치료로 나눌 수 있는데, 내과적 치료는 임신을 원하고 유착이 없는 경우에 시행하고, 수술적 치료는 어떤 치료로도 임신이 불가능한 경우 및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
|
통증을 느낄 때는 뜨거운 목욕이나 운동 등 기분전환을 통해 중상을 완화시키고 자신을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과 꾸준한 대화를 통해 이해와 협조를 부탁하려는 자세가 바람직합니다. |